본문 바로가기
Back-End/토비의 스프링

토비의 스프링 | 6장. AOP2 - 다이내믹 프록시

by Havi 2017. 4. 7.
반응형

6.3 다이내믹 프록시와 팩토리 빈

우리는 트랜잭션 경계설정과 비즈니스 로직 코드를 분리하기 위해 전형적인 전략 패턴을 사용하였다.

  • 부가기능은 자신이 핵심기능을 가진 것처럼 꾸며서 클라이언트가 자신을 거쳐 핵심기능을 사용하도록 했다.
  • 그렇게 하기 위해 인터페이스를 통해 부가, 핵심기능을 접근도록 하였다.

이렇게 마치 자신이 클라이언트가 사용하려고 하는 실제 대상인 것처럼 위장해서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받아주는 것을 대리자, 대리인과 같은 역할을 한다고 하여 프록시(Proxy)라 부른다. 프록시를 통해 최종적으로 요청을 위임받아 처리하는 실제 오브젝트를 타깃(tartget) or 실체(real subject)라 부른다.

  • 프록시의 특징은 타깃과 같은 인터페이스를 구현했다는 것과 프록시가 타깃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 프록시는 사용 목적에 따라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 1)클라이언트가 타깃에 접근하는 방법을 제어하기 위해서다.
    • 2)타깃에 부가적인 기능을 부여해주기 위해서다.

데코레이션 패턴

  • 데코레이션 패턴은 타깃에 부가적인 기능을 런타임 시 다이내믹하게 부여해주기 위해 프록시를 사용하는 패턴을 말한다.
  • 데코레이터라 불리는 이유는 마치 케익을 여러 겹으로 포장하고 그 위에 장식을 붙이는 것처럼 실제 내용물은 동일 하지만 부가적인 효과를 줄 수 있기 때문이다.
  • 그래서 프록시를 여러 개 쓸 수 있고 순서를 정해서 단계적으로 위임하면 된다.
  • 데코레이터 패턴은 인터페이스를 통해 위임하는 방식이므로 어느 데코레이터에서 타깃으로 연결될지 코드 레벨에선 미리 알 수 없다.
  • 데코레이터 패턴은 타깃의 코드에 손대지 않고, 클라이언트가 호출하는 방법도 변경하지 않은 채로 새로운 기능을 추가할 때 유용하다.
  • 소스코드를 출력하는 기능을 핵심기능으로 가지고 여러 데코레이터를 부여한다면 다음과 같이 조합할 수 있다.

프록시 패턴

  • 일반적으로 말하는 프록시는 클라이언트와 사용 대상 사이의 대리 역할을 맡은 오브젝트를 두는 방법을 말한다.
  • 프록시 패턴의 프록시는 프록시를 사용하는 방법 중에서 타깃에 대한 접근 방법을 제어하려는 목적을 가진 경우를 말한다.
  • 프록시 패턴의 프록시는 타깃의 기능을 확장하거나 추가하지 않는다. 대신 클라이언트가 타깃에 접근하는 방식을 변경해준다.
  • 타깃 오브젝트를 필요한 시점까지 생성하지 않고 있다가 타깃 오브젝트에 대한 레퍼런스가 필요하면 프록시 패턴을 적용하면 된다.(지연 생성)
  • 클라이언트에게 타깃에 대한 레퍼런스를 넘겨야 하는데 실제 타깃 오브젝트 대신 프록시를 넘긴다.
  • 그리고 해당 타깃을 사용하려 할 때 프록시가 타깃 오브젝트를 생성하고 요청을 위임해 주는 식이다.
  • 또는 특별한 상황에서 타깃에 대한 접근권한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할 수도 있다.
    • 프록시를 만들어 읽기전용으로 강제하고 add, update 등의 메소드를 사용하면 예외를 발생시키면 된다.
  • 구조적으로 보면 프록시와 데코레이터 패턴은 유사하지만 프록시는 코드에서 자신이 접근할 타깃 클래스 정보를 직접적으로 알야야 한다.

앞으로는 타깃과 동일한 인터페이스를 구현하고 클라이언트와 타깃 사이에 존재하면서 기능의 부가 또는 접근 제어를 담당하는 오브젝트는 모두 프록시라 부르겠다.

다이내믹 프록시

프록시를 만드는 것은 상당히 번거롭다. 하지만 자바에는 java.lang.reflect 패키지 안에 프록시를 손쉽게 만들게 지원해주는 클래스들이 있다. 마치 목프레임워크와 비슷하다. 이를 통해 몇 가지 API를 이용해 프록시처럼 동작하는 오브젝트를 다이내믹하게 생성해 보자. 프록시는 다음의 두 가지 기능으로 구성된다.

  • 타깃과 같은 메소드를 구현하고 있다가 메소드가 호출되면 타깃 오브젝트로 위임한다.
  • 지정된 요청에 대해서는 부가기능을 수행한다.
public class UserServiceTx implements UserService {
    UserService userService; //타깃 오브젝트
    ...
    
    public void add(User user) {
        this.userService.add(user); //메소드 구현과 위임
    }
    
    public void upgradeLevels() { //메소드 구현
    	//부가기능 수행
        TransactionStatus status = this.transactionManager.getTransaction(new DefaultTransactionDefinition());
        try {
            userService.upgradeLevels(); //위임
            this.transactionManager.commit(status);
        } catch (RuntimeException e) {
            this.transactionManager.rollback(status);
            throw e;
        }
    }
}

위의 코드에서 UserServiceTx 코드는 UserService 인터페이스를 구현하고 타깃으로 요청을 위임하는 트랜잭션 부가기능을 수행하는 코드로 구분할 수 있다. 이렇게 프록시의 역할은 위임, 부가작업이라는 두 가지 기능으로 구분할 수 있다. 프록시가 번거로운 이유는 다음과 같다.

  • 첫째는 타깃의 인터페이스를 구현하고 위임하는 코드를 작성하기가 번거롭다. 일일이 코드를 만들어 주고 타깃 인터페이스의 메소드가 추가되거나 변경될 때마다 함께 수정해야 한다.
  • 둘째는 부가기능 코드가 중복될 가능성이 많다.

리플랙션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유용한 것이 다이내믹 프록시이다. 다이내믹 프록시는 리플랙션 기능을 이용해서 프록시를 만들어준다.

리플랙션(java.lang.reflect): 자바의 코드 자체를 추상화해서 접근하도록 만든 것

String name = "Spring";

위의 코드에서 길이를 알고 싶으면 name.length()를 호출하면 된다. 자바의 모든 클래스는 그 클래스 자체의 구성정보를 담은 class 타입의 오브젝트를 하나씩 갖고 있다. '클래스이름.class', getClass() 메소드를 호출하면 클래스 정보를 담은 Class 타입의 오브젝트를 가져올 수 있다. 클래스 오브젝트를 이용하면 클래스 코드에 대한 메타정보를 가져오거나 오브젝트를 조작할 수 있다.

  • 클래스의 이름이 무엇이고, 어떤 클래스를 상속하고, 어떤 인터페이스를 구현했는지, 어떤 필드를 갖고 있는지, 각각의 타입이 무엇인지, 메소드가 어떤게 있는지 등
  • 더 나아가 오브젝트 필드의 값을 읽고 수정할 수도 있고, 원하는 파라미터 값을 이용해 메소드를 호출할 수도 있다.
Method langthMethod = String.class.getMethod("length"); //length 메소드를 가져와 invoke로 실행시키기
int length = lengthMethod.invoke(name) //int length = name.length();

프록시 클래스 예제

간단한 프록시 클래스를 만드는 예제를 진행해 보겠다. 프록시는 데코레이터 패턴을 적용해서 타깃인 HelloTarget에 부가기능을 추가했다.

interface Hello { 
    String sayHello(String name);
}
//구현한 타깃 클래스
public class HelloTarget implements Hello {
    public String sayHello(String name) {
        return "Hello " + name;
    }
}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프록시
public class HelloUppercase implements Hello {
    Hello hello; //위임할 타깃 오브젝트(다른 프록시 접근을 위해 인터페이스로 접근)
    
    public HelloUppercase(Hello hello) {
        this.hello = hello
    }
    
    public String sayHello(String name) {
        return hello.sayHello(name).toUpperCase(); //위임과 부가기능 적용
    }
}
@Test
public void simpleProxy() {
    Hello proxiedHello = new HelloUppercase(new HelloTarget());
    asserThat(proxiedHello.sayHello("Havi"), is("HELLO HAVI"));
}

다이내믹 프록시 적용

  • 다이내믹 프록시는 프록시 팩토리에 의해 런타임 시 다이내믹하게 만들어지는 오브젝트이다.
  • 클라이언트는 다이내믹 프록시를 통해 타깃의 인터페이스를 사용할 수 있다.
  • 부가기능은 따로 InvocationHandler를 구현한 오브젝트에 담으며 다음과 같이 하나의 메소드를 갖고 있다.
public Object invoke(Object proxy, Method method, Object[] args)
  • invoke()는 리플렉션의 Method 인터페이스, 메소드 호출에 필요한 파라미터값(args)를 파라미터로 받는다.
  • Hello 인터페이스의 메소드가 아무리 많아도 invoke() 메소드 하나로 모두 처리 가능하다.

public class UppercaseHandler implements InvocationHandler {
    Hello target;
    
    public UppercaseHandler(Hello target) {
        this.target = target;
    }
    
    public Object invoke(Object proxy, Method method, Object[] args) throws Throwable {
        String ret = (String) method.invoke(target, args); //리플렉션 API를 이용해 타깃 호출
        return ret.toUpperCase(); //부가기능
    }
}
Hello proxiedHello = (Hello) Proxy.newProxyInstance(
        getClass().getClassLoader(), //동적으로 생성되는 다이내믹 프록시 클래스의 로딩에 사용할 클래스 로더
        new Class[] { Hello.class }, //구현할 인터페이스는 여러개일 수 있으니 배열로
        new UppercaseHandler(new HelloTarget())); //부가기능, 위임 기능을 담은 InvocationHandler

확장된 UppercaseHandler

리턴타입이 String이 아닌 경우를 구분해서 InvocationHandler를 호출할 수 있도록 해주었다.

public class UppercaseHandler implements InvocationHandler {
    Object target;
    
    public UppercaseHandler(Object target) {
        this.target = target;
    }
    
    public Object invoke(Object proxy, Method method, Object[] args) throws Throwable {
        Object ret = method.invoke(target, args);
        if(ret instanceof String) {
            return ((String)ret).toUpperCase();
        } else {
            return ret;
        }
    }
}

트랜잭션을 포함시킨 InvocationHandler

public class TransactionHandler implements InvocationHandler {
    private Object target;
    private PlatformTransactionManager transactionManager;
    private String pattern; //트랜잭션을 적용할 메소드 이름 패턴
    
    public void setTarget(Object target) {
        this.target = target;
    }
    
    public void setTransactionManager(PlatormTransactionManager transactionManager) {
        this.transactionManager = transactionManager;
    }
    
    public void setPattern(String pattern) {
        this.pattern = pattern;
    }
    
    public Object invoke(Object proxy, Method method, Object[] args) throws Throwable {
        if(method.getName().startsWith(pattern)) {
            return invokeInTransaction(method, args);
        } else {
            return method.invoke(target, args);
        }
    }
    
    private Object invokeInTransaction(Method method, Object[] args) throws Throwable {
        TransactionStatus status = this.transactionManager.getTransaction(new DefaultTransactionDefinition());
        try {
            Object ret = method.invoke(target, args);
            this.transactionManager.commit(status); //타깃 호출후 예외가 발생하지 않으면 commit
            return ret;
        } catch (InvocationTargetException e) { //예외가 발생하면 트랜잭션 롤백
            this.transactionManager.rollback(status);
            return e.getTargetException();
        }
    }
}
  • 트랜잭션을 적용하는 것은 UserServiceTx와 동일하지만 예외는 runtimeException이 아닌 InvocationTargetException을 사용해서 잡는다.
  • 이제 UserServiceTx보다 복잡하지 않으면서 트랜잭션 적용도 간단한 트랜잭션 프록시 핸들러가 만들어졌다.

다이내믹 프록시를 위한 팩토리 빈

이전 방법의 문제는 DI의 대상이 되는 다이내믹 프록시 오브젝트는 일반적인 스프링의 빈으로는 등록할 방법이 없다는 것이다. 스프링은 내부적으로 리플렉션 API를 이용해서 빈 정의에 나오는 클래스 이름을 가지고 빈 오브젝트를 생성한다. 문제는 다이내믹 프록시 오브젝트는 이런 식으로 프록시 오브젝트가 생성되지 않는 점이다.

팩토리 빈

스프링은 대신해서 오브젝트의 생성로직을 담당하도록 만들어진 특별한 빈을 말한다. 이를 가장 쉽게 구현하는 방법은 FactoryBean이라는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것이다.

public interface FactoryBean<T> {
    T getObject() throws Exception; //빈 오브젝트를 생성해서 돌려준다.
    Class<? extends T> getObjectType(); //생성되는 오브젝트 타입을 알려준다.
    boolean isSingleton(); //getObject가 돌려주는 오브젝트가 항상 같은 싱글톤 오브젝트인지 알려준다.
}
public class Message {
    String text;
    
    private Message(String text) { //외부 생성 불가
        this.text = text;
    }
    
    public String getText() {
        return text;
    }
    
    public static Message newMessage(String text) { //생성자 대신 사용할 수 있는 스태틱 팩토리 메소드
        return new Message(text);
    }
}
public class MessageFactoryBean implements FactoryBean<Message> {
    String text;
    
    public void setText(String text) {
        this.text = text;
    }
    
    /*
     * 복잡한 방식의 오브젝트 생성과 초기화 작업 가능
     * 실제 빈으로 사용될 오브젝트 직접 생성
     */
    public Message getObject() throws Exception {
        return Message.newMessage(this.next);
    }
    
    public Class<? extends Message> getObjectType() {
        return Message.class;
    }
   
    /*
     * 이 팩토리 빈은 매번 요청마다 새로운 오브젝트를 만들므로 false로 설정한다.
     * 이는 펙토리 빈의 동작방식 설정이고 싱글톤으로 스프링이 관리해 줄 수 있다.
     */
    public boolean isSingleton() {
        return false;
    }
}
  • Message 클래스는 생성자를 private으로 선언하였기에 직접 스프링 빈으로 등록이 불가능하다.
  • 이렇게 선언된 Message를 오브젝트를 강제로 생성하는 것은 권장되지 않으며, 바르게 동작하지 않을 수 있다.
  • 팩토리 빈은 전형적인 팩토리 메소드를 가진 오브젝트이다.
  • 스프링은 FactoryBean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클래스가 빈의 클래스로 지정되면, getObject() 메소드를 이용해 오브젝트를 가져오고, 이를 빈 오브젝트로 이용한다.
  • 빈의 클래스로 등록된 팩토리 빈은 빈 오브젝트 생성하는 과정에서만 이용된다.

다이내믹 프록시를 만들어주는 팩토리 빈

Proxy의 newProxyInstance() 메소드는 팩토리 빈을 사용하면 다이내믹 프록시 오브젝트를 스프링의 빈으로 만들 수 있다. 팩토리 빈의 getObject() 메소드에 다이내믹 프록시 오브젝트를 만들어 주는 코드를 넣으면 되기 때문이다. 스프링 빈에는 팩토리 빈과 UserSerivceImpl만 빈으로 등록한다.

팩토리 빈을 이용한 트랜잭션 다이내믹 프록시 적용

public class TxProxyFactoryBean implements FactoryBean<Object> {
    Object target;
    PlatformTransactionManager transactionManager;
    String pattern;
    Class<?> serviceInterface;
    
    public void setTarget(Object targer) {
        this.target = targer;
    }
    
    public void setTransactionManager(PlatformTransactionManager transactionManager) {
        this.transactionManager = transactionManager;
    }
    
    public void setPattern(String pattern) {
        this.pattern = pattern;
    }
    
    public void setServiceInterface(Class<?> serviceInterface) {
        this.serviceInterface = serviceInterface;
    }
    
    //FactoryBean 인터페이스 구현 메소드
    public Object getObject() throws Exception {
        TransactionHandler txHandler = new TransactionHandler();
        txHandler.setTarget(targer);
        txHandler.setTransactionManager(transactionManager);
        txHandler.setPattern(pattern);
        return Proxy.newProxyInstance(
                getClass().getCalssLoader(), new Class[] { serviceInterface },
                txHandler);
    }
    
    /*
	 * DI 받은 인터페이스 타입에 따라 팩토리 빈이 생성하는 오브젝트 타입이 달라진다.
	 * 다양한 프록시 오브젝트 생성을 위한 재사용 코드
	 */
    public Class<?> getObjectType() {
        return serviceInterface;
    }
    
    /*
     * 싱글톤 빈이 아니라는 뜻이 아니라
     * getObject()가 매번 같은 오브젝트를 리턴하지 않는다는 의미
     */
    public boolean isSingleton() {
        return false;
    }
}
<bean id="userService" class="springbook.user.service.TxproxyFactoryBean">
	<pxroperty neme="taget" ref="userSerivceImpl" />
	<pxroperty neme="transactionManager" ref="transactionManager" />
	<pxroperty neme="pattern" ref="pattern" />
	<pxroperty neme="serviceInterface" ref="serviceInterface" />
</bean>


반응형

댓글